산 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 유는 중국계 미얀마인으로, 1962년 쿠데타 이후 미얀마의 정치와 군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네 윈 정권에서 요직을 두루 거치며, 1981년부터 1988년까지 대통령을 역임했다. 1983년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당시 대통령이었으며, 1988년 8888 항쟁으로 인해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1996년 양곤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카계 미얀마인 - 네 윈
네 윈은 1962년 쿠데타로 권력을 잡고 버마 사회주의 계획당을 통해 미얀마식 사회주의를 표방하며 1988년까지 통치한 미얀마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 하카계 미얀마인 - 킨 눈
킨 눈은 미얀마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군 정보국장 시절 반체제 인사 탄압을 주도하고 총리 재임 시 민주화 로드맵을 발표했으나, 실각 후 체포 및 투옥, 이후 사면되어 자서전 출간 및 사업가로 활동했다. - 중국계 미얀마인 - 쿤사
쿤사는 중국계 미얀마인으로 골든 트라이앵글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아편 군벌이었으며 몽 타이 군을 이끌고 버마 정부와 대립하며 전 세계 헤로인 공급을 통제하고 부를 축적했다가 미얀마 정부에 항복 후 은퇴 생활을 했다. - 중국계 미얀마인 - 모 젯 와인
모 젯 와인은 미얀마의 미인 대회 우승자이자 모델, 배우, 사업가이며, 미스 유니버스 미얀마 우승 후 영화에 출연하고 스킨케어 브랜드를 설립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한다. - 미얀마의 일제 부역자 - 바 모
바 모는 몬족과 버마족 혼혈 출신으로 영국 식민지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버마의 정치적 인물이었으며, 랑군 대학교 교수를 거쳐 변호사로 활동하며 자치 정부 운동을 이끌었고, 초대 총리를 역임했으나 일본의 지원을 받아 국가 원수가 되었고, 네 윈 정권 하에서 투옥되어 사망했다. - 미얀마의 일제 부역자 - 아웅 산
아웅산은 미얀마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영국령 인도 시대 학생 운동을 통해 민족주의 운동에 참여,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과 협력 및 항일 운동을 거쳐 반파시스트 인민자유동맹을 이끌며 독립 협상을 진행했으나 암살당했고, 미얀마 건국에 중요한 역할을 한 국민 영웅이며 그의 딸 아웅산 수치 또한 민주화 운동에 기여했다.
산 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စန်းယု |
로마자 표기 | San Yu |
IPA | sáɰ̃ jṵ |
직위 | |
제5대 버마 대통령 | 역임 |
임기 시작 | 1981년 11월 9일 |
임기 종료 | 1988년 7월 27일 |
이전 대통령 | 네 윈 |
다음 대통령 | 세인 륀 |
부통령 | 예 코 (1985–1988) |
총리 | 마웅 마웅 카 |
개인 정보 | |
출생 | 1918년 3월 3일 |
출생지 | 영국령 인도 페구 테곤 |
사망 | 1996년 1월 28일 |
사망지 | 미얀마 양곤 |
국적 | 버마 |
정당 | BSPP |
배우자 | 딴 셰인 |
자녀 | 4명 |
모교 | 랑군 대학교 의과대학 |
직업 | 대통령 |
군 경력 | |
소속 | 버마 |
군종 | 미얀마 육군 |
복무 기간 | 1942–1980년 |
계급 | [[파일:16. Myanmar Army GEN.svg|15px]] 대장 |
지휘 경력 | 북부 RMC 사령관 (1959년) 제1보병여단 사령관 (1961년) 동부 RMC 사령관 (1961년) 북서부 RMC 사령관 (1961년) 육군 부참모총장 (1963년) 총사령관 (1972년) |
훈장 | 독립 머건윈 (1등급) |
2. 생애
산 유는 중국계 민족으로[25] 영국령 인도 시대 테곤에서 하카 출신 중국인 아버지 우 산 페와 버마인 어머니 도 슈웨 라이 사이에서 태어났다.[26][4] 랑군 대학교 의과대학에서 2년 동안 의학을 공부했다.
산 유는 1942년 고향인 프로메(현재의 삐)에서 버마 독립군에 입대하여 1946년 1월 14일 제3 버마 소총대대의 소위가 되었다.[27] 그의 군대 생활 내내, 산유는 상관에 대한 변함없는 충성심으로 인해 빠르게 그 지위를 승계했다. 1947년 1월 23일, 산 유는 대위로 진급하여 같은 대대의 부중대장이 되었고, 1949년 2월 24일 소령으로 진급하여 제3 버마 소총대 부대장이 되었다.[27][5]
산 유는 1962년 3월 2일 네 윈 장군이 일으킨 군사 쿠데타에 참여하여 우 누 총리의 민간 정부를 전복시킨 연방 혁명 위원회(RC)의 창립 멤버였다.[6][7] 그는 1963년부터 1972년까지 재무부 장관을 역임했다.[6][7] 1971년 9월 25일에는 혁명 위원회가 구성한 '신 헌법 초안 위원회'(NSCDC)의 위원장으로 임명되었으며,[8] 1971년부터 1973년까지 미얀마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헌법(1974년 미얀마 헌법) 초안 작성 과정에서 NSCDC 위원장으로서 미얀마 전역을 순회했다.
1962년 3월 2일, 네 윈 장군이 이끄는 버마 국군이 를 일으켜, 버마의 정권은 의장 네 윈 외 16명의 국군 간부로 구성된 연방 혁명 평의회가 장악하게 되었다。 서북군관구 사령관인 산 유 육군 준장은 이 연방 혁명 평의회의 초대 의원 중 한 명이었다。 7월 4일 버마 사회주의 계획당(BSPP)이 결성되자, 산 유는 이 당의 최고 간부 조직인 당 조직 중앙위원회의 부위원장이 되었다。
1971년 6월 28일, BSPP의 제1회 당 대회가 개최되어 국가의 사실상 최고 의사 결정 기관으로서 중앙 집행위원회가 설치되었고。 산 유는 제1기 중앙 집행위원 15인 중 한 명이 되었다。 그는 당시 부수상, 재무상, 국가 계획상, 육군 참모차장을 겸임하고 있었다。
1981년 11월 9일, 네 윈 대통령이 사임하고 산 유가 후임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12]。 당시 그는 국방상을 맡고 있었다[15]。 네 윈은 그 후에도 BSPP 당 의장으로서 국정에 관여했다[12]。
1983년 10월, 랑군 폭탄 테러 사건이 발생했다. 아웅산 묘소에서 당시 버마를 방문 중이던 대한민국(한국) 대통령 전두환 등을 표적으로 한 폭탄 테러 사건이 발생하여 한국 각료 4명을 포함한 다수의 사망자를 냈다. 버마 정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정부의 지시에 의한 범행으로 단정하고, 북한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했다[13]。
1988년 3월 경부터 학생들에 의한 반정부 운동이 발생하여, 7월 말에 BSPP의 임시 당 대회와 임시 회기가 개최되어, 산 유 대통령이나 네 윈 의장 등 정부 수뇌가 퇴진하는 사태로 발전했다[14]。
1996년 1월 28일, 양곤에서 사망했다[15]。
3. 군사 경력
1949년 11월 25일 중령으로 진급하여 제1카레니 소총대대의 지휘를 받았다.[27] 1950년 12월 22일 제1카친 소총대대로 전근되었다.[27] 1950년과 1951년 내내, 그는 네 윈 준장의 북부 지역 군사 사령부 아래에서 복무했다.[27] 1952년 9월 17일 국방부 내의 군사임용총장실로 옮겨졌다.[27]
1956년 3월 9일, 그는 대령으로 진급했고[27] 1959년 2월 25일 북부 지역 군사 사령관이 되었다.[27] 1959년 4월 9일 준장으로 진급했다.[27] 그 후 그는 1961년 8월 16일 제1보병여단의 사령관이 되었고, 1961년 10월 16일 동부 지역 군사 사령부, 1961년 11월 29일 북서 지역 군사 사령부의 사령관이 되었다.[27]
1962년 군사 쿠데타 이후, 산 유 준장은 1963년 2월 15일 육군 참모차장이 되었다.[27] 그는 대장으로 진급했고 1972년 4월 20일 따머도의 총사령관이 되었다.[27]
4. 정치 경력
1972년 4월 20일, 연방 혁명 위원회는 산 유가 준장에서 장군으로 진급했다고 발표했다.[9] 1974년 4월 26일, 산 유 장군은 미얀마 사회주의 프로그램당(BSPP)의 국무위원회 사무총장이 되었고, 국무원 사무실로 이동했다. 그는 1978년 3월 3일 군에서 은퇴했다. 1981년 11월 9일, 미얀마 입법부인 ''피투 흘루타우''는 산 유를 미얀마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대통령으로 선출했다. 그는 1988년 7월 27일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했으며, 독립 이후 네 윈(1974년 3월 4일부터 1981년 11월 9일까지 대통령 역임)에 이어 두 번째로 오랫동안 미얀마 대통령을 역임했다. 그러나 네 윈은 BSPP 의장직을 유지하며 실권을 쥐고 있었다.[12]
1985년 8월, 제5차 BSPP 회의에서 산 유는 공식적으로 BSPP 부의장으로 선출되었다. 이후 산 유는 당과 국가 직책에서 은퇴할 때까지 언론에서 1974년 헌법 규정에 따라 미얀마 사회주의 프로그램당 부의장, 대통령 겸 국무위원회 의장으로 불렸다.
1988년 7월 23일, BSPP 회의 개막일에 네 윈은 산 유가 다른 당 및 국가 지도자 4명과 함께 당 및 국가 직책에서 은퇴할 의사를 표명했다고 발표했다. BSPP 회의는 네 윈과 산 유의 사임을 수락했다.
1983년 10월에는 양곤시 아웅산 묘소에서 대한민국 대통령 전두환 등을 표적으로 한 폭탄 테러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한국 각료 4명을 포함한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버마 정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정부의 지시에 의한 범행으로 단정하고 북한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했다.[13]
1988년 3월부터 학생들의 반정부 운동이 격화되면서, 7월 말 BSPP 임시 당 대회와 임시 회기가 개최되어 산 유 대통령과 네 윈 의장 등 정부 수뇌가 퇴진하는 상황이 발생했다.[14] 이후 세인 윈 정권이 성립되었으나, 민주화 운동은 더욱 거세져 12일 만에 퇴진했다.[14]
은퇴 후, 산 유는 1988년 민주화 시위와 군사 쿠데타로 이어진 혼란 속에서 정치 사회에서 물러나 양곤 교외 자택에서 가족과 함께 살았다. 그는 불교의 가르침을 따르며 여생을 보냈고, 1996년 1월 28일 평화롭게 사망했다.[15]
4. 1. 1983년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
5. 사상
1965년 11월 제1차 당 세미나에서 당시 서기장이었던 산 유는 "국군은 정치 투쟁 속에서 태어나 다양한 무장 투쟁을 겪어왔다. 그러나 한때 스스로의 역할에 대해 '군에게 정치는 무관하다. 경제나 사회에 대해서도 군의 일이 아니다. 우리의 유일한 의무는 국방이다'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이러한 좁은 소견 때문에 국군은 혁명의 유산을 잃을 뻔했다. 그러나 네 윈 장군의 지도 아래 국군은 스스로의 소중한 유산을 되찾았다"라고 말했다. 조치 대학의 네모토 케이는 이 발언이 국군이 스스로를 "혁명을 추진하는 정치적인 군"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해석했다.[16]
6. 사망
참조
[1]
웹사이트
Chiefs of State and Cabinet members of foreign governments / National Foreign Assessment Center. Jan-Aug 1986
https://hdl.handle.n[...]
[2]
뉴스
San Yu, 74, Former Leader Of Myanma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1-10-31
[3]
웹사이트
SAN YU, 78
https://web.archive.[...]
[4]
서적
Golden Dragon and Purple Phoenix: The Chinese and Their Multi-Ethnic Descendants in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13-03-26
[5]
문서
Defense Service History Museum in Yangon
[6]
학위논문
Recruitment of the Burmese political elite in the second Ne Win regime : 1962–1967
https://open.library[...]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1969-10-13
[7]
웹사이트
Chiefs of State and Cabinet members of foreign governments / National Foreign Assessment Center. 1966Sep-Dec.
https://hdl.handle.n[...]
[8]
신문기사
The Working People's Daily
1971-09-26
[9]
신문기사
The Working People's Daily
1972-04-21
[10]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11]
웹사이트
Golden Dragon and Purple Phoenix: The Chinese and Their Multi-Ethnic Descendants in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2019-03-27
[12]
웹사이트
1982年版外交青書 3. ASEAN5か国及びビルマ
https://www.mofa.go.[...]
日本国外務省
2017-11-27
[13]
웹사이트
1984年版外交青書 3. 東南アジア諸国連合(ASEAN)6か国及びビルマ
https://www.mofa.go.[...]
日本国外務省
2017-11-27
[14]
웹사이트
1988年版外交青書 3.東南アジア地域
https://www.mofa.go.[...]
日本国外務省
2017-11-27
[15]
뉴스
PASSAGE
http://www.pathfinde[...]
Asiaweek.com
2017-11-27
[16]
뉴스
【飛び立つミャンマー】根本敬・上智大学教授の「ビルマ考現学」(6)
https://web.archive.[...]
産経デジタル
2017-11-27
[17]
문서
연방혁명평의회의장
[18]
문서
국가법질서회복평의회의장
[19]
문서
국가평화발전평의회 의장
[20]
문서
국가행정평의회의장
[21]
문서
국민통일정부 대통령
[22]
문서
국민통일정부 대통령대행
[23]
웹인용
Chiefs of State and Cabinet members of foreign governments / National Foreign Assessment Center. Jan-Aug 1986
https://hdl.handle.n[...]
[24]
뉴스
San Yu, 74, Former Leader Of Myanma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1-10-31
[25]
웹사이트
SAN YU, 78
https://web.archive.[...]
[26]
서적
Golden Dragon and Purple Phoenix: The Chinese and Their Multi-Ethnic Descendants in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2013-03-26
[27]
문서
Defense Service History Museum in Yang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